[AsiaNet] 2025년 여름 르자오 관광 호황 원인 분석
AsiaNet 0201111
르자오, 중국 2025년 9월 29일 /AsiaNet=연합뉴스/-- 2025년 여름, 르자오의 19개 주요 관광지를 찾은 방문객 수는 약 1830만 명, 관광 수익은 3억 900만 위안을 기록했다. 또한 더우인(Douyin, 틱톡)에서 르자오 관련 콘텐츠 조회 수는 20억 회를 넘어섰고, 호텔 및 여행 예약은 전월 대비 123% 급증했다. 그러나 르자오는 단순히 '방문객 수'와 같은 표면적인 데이터에 집중하지 않고, 이를 실질적인 성과와 측정 가능한 가치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바다를 보는' 관광에서 '바다를 즐기는' 관광으로: 르자오의 문화·관광 융합 모델
르자오는 이번 여름 '경계 허물기(boundary-breaking mindset)' 전략을 통해 관광 상품을 새롭게 재편했다. 해양 자원을 음악, 이벤트, 무형문화유산, 첨단 기술과 융합해 '전 연령층, 전 시간대, 전 시나리오'를 아우르는 새로운 관광 생태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바다를 무궁무진한 체험의 장으로 변모시켰다.
르자오는 '소다 뮤직 칠 파티(Soda Music Chill Party)', '선라이즈 오리엔탈(Sunrise Oriental)' 윈드 뮤직 카니발, 제10회 중화컵(Zhonghua Cup) 전국 목관악기 솔로 경연대회, 2025 르자오시 농구 슈퍼 리그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음악과 스포츠를 접목해 관심을 관광으로 연결시켰다. 또한 무형문화유산과 영화·드라마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해 촬영지 투어와 '헤리티지 야시장(Heritage Night Market)'을 운영하면서, 전통과 현대 미학을 결합한 체험을 제공했다. 아울러 '싱다오 블루카본 프로젝트(Xingdao Blue Carbon Project)', '커피 앤 더 씨(Coffee & The Sea)' 등 신규 관광 콘텐츠를 통해 매력을 강화했다. 르자오는 단발적인 '바이럴 히트 상품'에 그치지 않고 '생태계 매트릭스(ecosystem matrix)'로 확장해 관광객을 일회성 소비자가 아닌 반복 체험으로 이어지는 활동적인 참여자로 전환했다.
'관리'에서 '공감'으로: 르자오의 '손님 우선' 철학
관광의 본질은 결국 사람 간의 만남이며, 한 도시가 지닌 따뜻함이다. 르자오는 이번 여름, 전통적인 '관광지 중심 서비스'를 넘어 '경계 없는 서비스 존'으로 도시 전체를 전환했다.
르자오시 도시관리국(Rizhao City Urban Administration)은 해안 관광지에 '르자오 스마트 주차(Rizhao Smart Parking)'를 시범 도입해 방문객들이 미니 프로그램을 통해 주차 공간 예약, 원활한 결제, 스마트 내비게이션을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공안국(Public Security Bureau)은 '조석 치안 모델(tidal policing model)'을 도입, 영상 감시와 도로 순찰, 드론을 '공중 파수꾼(aerial sentinels)'으로 활용해 주요 지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을 조기에 예방했다. 또한 소방구조대 선샤인 코스트 스테이션(Sunshine Coast Station of the Fire and Rescue Brigade)은 '1분 대응, 3분 도착, 5분 구조' 체계를 운영해 여름 내내 관광 관련 안전사고 '제로(0)'를 달성했다.
'도착'에서 '체험'으로: '빠른 이동, 느린 체류'를 지원하는 다차원 네트워크
문화·관광 산업의 발전은 인프라 지원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번 여름 르자오에서 자유여행(셀프 드라이브 투어)의 인기가 급증한 것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구축해 온 '다차원 교통 + 그린웨이 네트워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선, '3시간 고속철도 권역(3-hour high-speed rail circle)'이 완성되면서 주요 관광객 유입 시장과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돼 주말여행과 단기 여행이 일상화됐다. 여기에 르자오 고속철역(Rizhao High-Speed Rail Station) 개통은 관광 성장에 속도를 더했다. 르자오 공항(Rizhao Airport)의 여름철 여객 처리량은 20만6천 명으로 전년 대비 7% 증가해, 항공 네트워크를 통한 '하늘길'도 확장됐다. 또한 르자오는 '선샤인 코스트 그린웨이(Sunshine Coast Greenway)'와 '마운틴-시 로맨스 그린웨이(Mountain-Sea Romance Greenway)'를 연결해 61.8km에 달하는 '생태 회랑'을 조성, 산·바다·도시를 하나로 엮으며 자연경관과 도시 활력을 결합시켰다.
바닷바람이 시원해지고 여름이 끝나가도, 르자오의 문화 및 관광 이야기는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자료 제공: Rizhao Daily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
최용대
기자
헤드라인 뉴스
-
《사회칼럼》 학대의 굴레
학대의 굴레 한국의 양육문화에는 체벌이 드물지 않았다. 이러한 문화가 지배하는 가정에서 자란 성인들은 대부분 어릴 때 부모에게 이런저런 이유로 맞은 기억을 갖고 있다. 흔히 ‘사랑의 매’라고 표현했던, 체벌을 동원한 자녀교육도 시대가 바뀌면서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긴 하다. 하지만 세대를 거쳐 대물림되는 문화현상의 흔적을 그리 쉽게 지울 수는 없다. 당시의
-
《사회칼럼》 선물과 뇌물
선물과 뇌물 추석을 앞두고 여기저기서 선물 상자들이 오가는 모양이다. 가뜩이나 밀리는 퇴근길이 요 며칠 사이에 더욱 혼잡을 빚는 것도 백화점이나 쇼핑센터의 선물 꾸러미 배달이 겹친 때문이라고 한다. 선물 대신 전달하기 위해 상품권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그러다 보니 혹시나 자신에게도 선물이 들어오지나 않을까 은근히 기다려지는 게 명절을
-
《인문사회칼럼》 실천적 인문교육이 필요하다
실천적 인문교육이 필요하다 인문학도의 한 사람으로서, “인문과학을 포함한 기초 과학의 교육을 대학교육의 핵심이 되도록 해야 하며, 인문과학은, 인식과 윤리에 있어서 보편적 원리를 배우고 그것을 몸의 습관으로 지니게 하는 데에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학문이다”라는 김우창 교수님의 말씀은 참으로 공감이 가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실제적 조치에
-
《인문문학칼럼》 時代의 문학
時代의 문학 1930년대 궁핍했던 식민지 현실 위로해준 소냐·카추샤 이른바 저항과 투쟁의 1980년대엔 고리키의 ‘어머니’ 열풍 우리의 시대는 무엇을 읽는가, 문학은 오늘도 유효한가 시대가 읽는 문학이 있다. 20세기 초 한국을 휩쓴 러시아 문학 붐은 일본에서 건너왔지만, ‘남의 얘기 같지 않다’는 동질감은 제국보다 식민지 현실에서 더 큰 반향을
-
《사회칼럼》회한과 그리움
회한과 그리움 글을 쓰다 보면 한 줄도 직진하지 못하고 머릿속이 뿌예지는 날이 있다. 그럴 때는 음악을 듣는다. 옛 노래도 종종 듣는 편인데 최근에는 정훈희와 송창식이 함께 부른 ‘안개’를 자주 들었다. 옛날 음악을 듣기 위해 유튜브에서 ‘박인희와 함께’, ‘이종환의 밤의 디스크쇼’ 같은 추억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찾았다. 음악도 좋았지만 더 흥미로운 건
-
한국매일뉴스 선정 창작지원금(3000만원) 시상식 안내
한국매일뉴스는 기존 문학 생태계의 이해를 벗어나 상업적인 면과 거리를 두고, 예술의 본질적 가치를 지키며 실질적 창작 환경 개선과 미래 문학을 위해 ‘아름다운 시집’ 선정 및 창작지원금 제도를 마련했다. 이 사업은 문학의 존엄성과 예술적 성취를 기리는 한편,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문학적 양심과 언어의 혼을 지켜온 작가들에게 창작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
《인문칼럼》 가을날에 생각하는 추일서정, 가을날의 생각
가을날에 생각하는 추일서정, 가을날의 생각 황혼이라는 낱말이 주는 느낌은 '아름다움'과 '쓸쓸함'입니다. 그런데 요즘 심심찮게 불리는 '황혼이혼'을 만나면 '아름다움'은 간 곳 없고 '쓸쓸함'만 남습니다. 황혼이혼은 이웃나라 일본에서 남편이 나이 들어 은퇴할 무렵 아내가 평생을 남편 뒷바라지하며 힘들게 살아왔으니 이젠 자기 나름대로 보람 있는 새 생활을
-
《사회칼럼》 어느 가을날
어느 가을날 새벽비 내리는 창밖을 망연히 바라보다 문득 되살아나는 삶의 욕구에 은근 소름이 돋는다. 이 쯤 살아왔으면 삶이란 것에 대해서 조금은 여유롭게 대처하는 방도도 어느 정도는 배워 익혔으리라 여겨지다가도, 언뜻 언뜻 흥분과 충동에 몸이 떨리는 걸 경험하면서는, 아직도 조금은 남아있는 젊음의 기운에 스스로 감동하게도 된다. . 아무리 자기만족으로
-
《인문사회》 시대의 흐름에 서서 공적공간의 윤리성과 인문교육
공적공간의 윤리성과 인문교육 하버마스의 글에 사람들이 어떻게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상호 이해에 이를 수 있는가, 또 그것을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들이 선행돼야 하는가를 논하는 것이 있다. (“보편적 실천 어용론(語用論)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대화의 기본 조건 가운데 그가 강조하는 것은 주로 네 가지, 즉 해독가능성, 진실, 진실성,
-
《사설》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정치판...여야는 각성해야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정치판...여야는 각성해야 제도권 정치가 유튜브 권력에 휘둘리는 현상이 위험 수위를 넘었다. 극단적 친여·친야 성향 유튜브 채널들은 적대와 혐오의 정치를 조장해 수익을 내고, 정치권은 지지층을 손쉽게 결집하는 데 유튜브 팬덤을 활용하는 구조다. 정당들이 의제 설정과 이슈 생산 기능을 유튜브에 의존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조희대
-
[사회 칼럼] 인재 유출의 그림자 미국, 제 발등에 총을 쐈다
미국이 H-1B 비자 수수료를 1인당 10만 달러로 대폭 인상하겠다고 선언했다. 빅테크 기업들은 황급히 직원들에게 ‘미국을 떠나지 말라’는 내부 공지를 내걸었고, 글로벌 기술 인재들은 혼란과 불안을 감추지 못한다. 이 장면은 아이러니하다. 미국의 힘은 결코 국경 안에서만 길러진 게 아니지 않는가 오히려 세계의 수많은 재능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며 구축한 기술
-
《사설》극단주의 민주주의
국단주의 민주주의. 극단주의. 민주주의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이 단어는 최근 세계 정치의 화두다. 진보와 보수는 견제를 넘어 극한의 갈등으로 치닫고 극성 지지자들은 선을 넘어 무력을 행사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리고 극단주의가 꽃피우는 곳은 민주주의의 출발지이자 종착지인 국회다. 거리에서 소수로 존재하던 극단주의자들이 힘을 갖는 것은 국회 권력과
-
《사설》 '인내
'인내'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명대사로 알려진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뜰 거야!”는 원문 “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를 창의적으로 의역한 초월 번역의 걸작 사례로 꼽힌다. 이 문장은 일본에서는 “내일은 내일의 바람이 불 거야!”로 번역된 바 있다. 일본어에는 ‘바람에 맡기다’는 표현이 있다. 돛단배가
-
《사설》 태극기에 담긴 성리학의 우주 생성 이론
태극기에 담긴 성리학의 우주 생성 이론 태극기(太極旗) 속의 태극 문양은 유가 경전에 제시된 전일적(全一的)인 우주 생성의 원리를 상징한다. 중국 송대(宋代) 성리학의 발흥 과정에서 정립된 태극의 우주 생성론이 조선 유학사 500여 년의 과정을 거쳐 19세기 말엽 조선의 국기 제정에 직접적 영향을 끼쳤다. 주지하듯 1882년
-
[칼럼] 한국과 베트남 -공석진-
최근 베트남 다낭(Da Nang)에서 한 달 살기를 마치고 돌아온 한 지인이 우스갯소리로 다낭市를 '경기도 다낭시'라고 말해서 문득 그곳이 연상이 되어 피식 웃음이 니왔었다. 이 말은 베트남 다낭이 한국인 관광객이 매우 많아 마치 경기도의 한 도시처럼 여겨진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별칭이다. 그만큼 우리나라와 베트남은 그 어느 나라보다 친밀한 관계가
-
보은군, 2025 보은대추축제 D-30 '준비 이상 무'
보은군, 2025 보은대추축제 D-30 '준비 이상 무' 보은군은 오는 10월 17일부터 26일까지 10일간 보은읍 뱃들공원과 보청천 일원에서 열리는 '2025 보은대추축제'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철저한 준비에 나서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군은 축제 개막을 한 달 앞두고 부서별 추진 상황 보고회와 현장 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며, 관광객 맞이에 만반의
-
[칼럼] 부곡온천, 한 사람의 도전이 만든 기적 -배성근-
경남 창녕의 부곡온천은 단순한 관광지가 아닙니다. 그것은 한 사람의 열정과 결단이 만들어낸 기적이자, 마을의 운명을 바꾼 역사입니다. 1972년 여름, 신현태 선생은 마을 뒷산에서 뜨거운 물을 찾아 굴착을 시작했습니다. 자본도 기술도 부족했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냉정한 시선 속에서도 굳은 의지로 삽과 기계를 움직인 끝에, 지하 63m에서 78℃의
-
《사설》공허한 제도
공허한 제도 공존과 협력의 시민 문화 내지 인간적 정서가 깊고 넓어지는 변화 없이 제도의 형식에만 의존해 실천되는 민주정은 군주정이나 귀족정보다 못할 수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럴 경우 사회는 분열될 수밖에 없고 개개인은 사나워지기만 할 텐데, 이런 조건에서 누가 ‘목적 있는 좋은 삶’의 전망을 가질 수 있겠는가. 잘 알다시피 1987년 민주화
-
《사설》사회 구성원
사회 구성원 갈등은 한 인간의 내면에 또는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작용으로서 나타나는 사회현상으로 어떤 사람이 한 번에 해결할 수 없는 둘 이상의 강한 욕구가 병존할 때나 한 사람 또는 집단의 기대나 목표지향적 행동이 타인이나 타 집단에 의해 좌절되거나 차단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이러한 현상은 결국 제한된 목표를 한 사람이 동시에 이루지 못하거나 여러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