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보수와 진보, 좌와 우 혼돈 속 길을 묻다

이원희 기자

등록 2025-08-19 11:58

좌우의 대립이 아닌 미래의 해법을 위한 연대

보수와 진보 좌와 우

정치는 늘 ‘보수’와 ‘진보’, ‘좌파’와 ‘우파’라는 언어로 구획되어져 왔다. 그러나 정작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이 말들은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 채, 진영 논리와 편의주의적 구호로 전락해 있다. 각기 제 목소리를 명징히 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념의 뿌리를 살피고, 현재 정치의 판도를 냉정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보수란 질서와 전통을 존중하며 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 개선을 추구하는 태도를 말한다. ‘지켜야 할 가치’에 방점이 찍힌다. 반면 진보는 기존 질서에 내재한 불평등과 모순을 비판하며 변화를 통해 더 나은 사회를 지향한다.

보수는 ‘안정과 연속성’을, 진보는 ‘개혁과 변혁’을 핵심으로 삼는 셈이다.


좌파와 우파라는 구분은 프랑스 혁명기의 의회 좌석 배치에서 기원한다. 좌측에 앉은 세력이 평등과 개혁을 주장하며 좌파라 불렸고, 우측에 앉은 세력은 왕정과 전통을 수호하며 우파로 불렸다. 따라서 좌·우는 진보·보수와 연결되면서도 맥락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오늘날 한국 정치에서 보수와 진보는 본래 이념의 지향점을 넘어 ‘누구 편인가’를 가르는 편 가르기 도구로 변질된 측면이 크다.

보수 정당은 ‘안보’와 ‘경제 성장’을 내세우면서도 때로는 기득권 보호로 비판받고,

진보 정당은 ‘평등’과 ‘복지 확대’를 주장하면서도 현실적 대안 부족으로 흔들린다.

결국 정파적 유불리에 따라 입장이 뒤집히는 경우가 많아, 국민들은 ‘정체성 없는 정치’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정치는 서로 다른 가치의 경쟁이자 조율이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진영 충성심만 강조되면 국민 또한 정치인들의 이런 태도를 따라가며 ‘편의적 보수’와 ‘조건부 진보’라는 이율배반적 모습 속에 방황한다.

정치가 정체성을 잃는 순간, 민주주의는 빈 껍데기가 된다.


단순히 좌우를 가르는 ‘진영적 이름표’에 급급하기보다 내가 무엇을 지켜야하고 무엇에 답해야 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자기 철학이다.


진보라면 왜 변화가 필요한지, 보수라면 무엇을 지켜야 하는지 납득할 만한 합법적 근거가 명확해야 한다.

정략적 이익에 따라 입장을 바꾸며 국민의 혼란을 키우고, 정체성을 상실한 정치는 결국 국민에게서 신뢰를 잃고, 갈등과 분열속에서 안보는 위험에 노출 될 수 밖에 없다.


독일의 대연정 사례는 우리에게 분명한 교훈을 준다.

 연방공화국은 기민당(CDU/CSU)과 사민당(SPD)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면서도, 국가적 위기에 직면할 때는 대연정을 구성해 합의와 책임을 강조해왔다. 대화와 상호 이해를 통해 공동의 정책 방향을 설정했고, 이로써 국가 운영의 안정을 우선적으로 확보했다.


지금 현 한국 정치에서 시급히 필요한 것은 정치 인문학이다.

인문학은 인간과 공동체의 근원을 성찰하고, 타인의 고통을 나의 문제로 받아들이게 하는 힘이다.

인문학은 인간의 얼굴을 잃지 않게 하는 거울이며, 타인의 고통을 나의 문제로 인식하게 하는 공동체적 역활이다. 권력 다툼간 전술에서 인간 이해의 사유가 정치의 중심에 놓일 때, 비로소 정치가 다시 공동체의 희망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양심과 인성을 향한 성찰을 회복하지 않는 한, 민주주의의 정당성과 미래 또한 담보할 수 없다.


이제 정치가 되찾아야 할 것은 권좌의 탈환도 정당몰이도 아닌 정책 몰이다.

어떤 정당이 더 우월한가는 이제 덜 중요하다.

대신 어떤 정책이 국민 삶을 개선할 수 있을지를 놓고, 좌우가 머리를 맞대는 연구와 타협이 반드시 우선 되어야한다.

후진국형 한국 정치가 다시 등불이 되려면, 자신만 비추던 등대의 불빛을 먼 바다를 향해 그리고 민생을 향해 빛을 비춰야 하기 때문이다.




이원희

이원희

기자

헤드라인 뉴스

한국매일뉴스
등록번호인천 아 01909
등록일자2025-07-05
오픈일자2025-07-05
발행일자2025-07-05
발행인최용대
편집인이원희
연락처010)8834-9811
이메일yong727472@naver.com
주소 인천 서구 원당대로 628 714호 보미 골드 리즌빌
한국매일뉴스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