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에 기생하는 어용 지식인, 사냥개의 운명
인텔리겐치아는 권력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발버둥 친다. 그 모습이 백열등에 몸을 부딪치며 날개를 퍼덕이는 부나방을 닮았다. 권력을 동경하는 지식인의 정치적 야망을 비난할 수만은 없다. 세계사의 모든 거대한 혁명은 지식인의 정치적 상상력이 정치권력과 결합될 때 비로소 완성됐다. 군사를 일으켜 정권을 탈취할 수 있지만, “아름다운 꿈”을 팔아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 한다면 정치혁명이 지속될 수 없기 때문이다. 공자나 맹자처럼 모든 시대의 지식인들은 권력자를 향해 치국(治國)의 요체와 경세(經世)의 묘책을 외쳐댄다. 문제는 지식인이 권력자에 아부하고 기생할 때 발생한다.
진시황 도와 천하통일 이룬 이사(李斯)의 최후
가령 고대 중국에서 천하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진시황(秦始皇, 재위 221-210 BC)의 뒤에는 순경(荀卿, 3세기 BC, 순자)의 문하에서 치국(治國)의 책략을 탐구했던 초(楚)나라 하급관리 이사(李斯, 280-208 BC)가 있었다. 어느 날 곡간에서 배불리 지내는 쥐들을 본 후, 이사는 자신이 굶주린 뒷간 바닥의 쥐와 비슷하다 생각했다. 이후 그는 권력의 곡간을 찾아 진나라로 옮겨갔고, 법가의 치술을 팔아서 권력의 핵으로 들어갔다.
이사의 꿈은 지방 군웅의 침략전쟁을 종식하고 영구평화의 기반을 닦는 중앙집권적 군현제와 사상통일의 실현이었다. 바로 그 꿈으로 이사는 진시황을 사로잡았고, 법가의 천하통일을 달성했지만······. 황제가 죽자 이내 환관 조고(趙高)의 계략에 빠져 일신을 망치고 말았다. 기원전 208년 여름, 이사는 이마에 문신 새김을 당하고, 코를 베이고, 다리를 잘린 후, 광장의 군중 앞에서 허리를 절단하는 요참(腰斬)을 당했다. 그의 삼족(三族)도 모두 도륙(屠戮) 당했다.
마오쩌둥은 역사의 악인으로 인식돼온 진시황의 재평가를 시도했다. 1958년 중국공산당 제8기 전국대표대회 2차 회의에서 마오쩌둥이 직접 청중 앞에서 말했다고 전해진다.
“진시황이 뭘 했다고. 고작 460명 유생들을 매장했을 뿐이잖아. 우리는 4만6천명의 유생을 묻었잖아. 우리가 진반(鎭反)운동을 할 때 반혁명분자들을 제거했잖아. 너희 지식분자들은 우리를 진시황이라고 비난을 하는데, 틀렸어. 우리가 진시황을 100배는 넘어섰지.”
문화혁명 당시 관방 학자들은 진시황의 법가주의 혁명을 칭송했다. 홍위병들이 공자의 고향에 달려가 공묘의 문물을 파괴하던 시절이었다. 당연히 유가는 봉건지주계급의 이념이라 폄하됐다. 반면 법가는 대일통(大一統)의 중앙집권적 제국을 구축한 진보사상이라 칭송됐다.
마오쩌둥은 분명 진시황의 권위를 넘어 중국 역사상 최고의 영웅으로 역사에 기록되길 원했다. 1936년 연안의 토굴에서 마오쩌둥이 직접 지었다는 운문 “심원춘·설(沁园春·雪)”에는 진시황에 대한 그의 평가가 단적으로 드러난다. 바로 “진시황과 한무제는 아쉽게도 문채가 부족했네! (惜秦皇汉武,略输文采)”라는 구절이다. 혁명의 관점에서 문채(문학적 풍류)는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선전선동의 기술을 말한다.
진시황이 “위대한 법가혁명”을 멋지게 꾸밀 수 있는 혁명의 이론을 갖추지 못했었다는 지적이다. 진시황은 천하통일을 달성했지만, 후대의 중화제국은 모두 법가대신 유가를 국가이념으로 삼았다. 법가가 이룬 천하통일의 혁명이 유가에 의해 하이재킹(hijacking) 당했다고 볼 수도 있다. 마오쩌둥은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정교한 이론의 계발이 없인 공산혁명이 성공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었다.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에 마오쩌둥은 집권초기부터 권력을 바라고 구름처럼 모여든 수많은 인텔리들 중에서 발군의 인재를 선별해서 이념전선의 전위부대를 조직했다. 이들 개개인의 이력을 추적해 보면 대부분 영웅을 꿈꾸며 일찍이 공산혁명에 투신한 권력지향의 인물들이었다.
예컨대 마오쩌둥의 최측근 톈자잉(田家英, 1922-1966)은 조실부모(早失父母)한 후 독학으로 문장을 읽혀 불과 13세에 문예지에 수십 편의 시가(詩歌)를 출판했던 쓰촨(四川)성의 문학 신동(神童)이었다. 그는 1938년 공산당에 입당한 후, 중앙선전부 등에 배속되어 곧 문재를 드러냈다. 1948년 이래 그는 마오쩌둥의 비서로 근무했다. 그는 훌륭한 문장력을 발휘해서 헌법 제정에도 참여했으며, 마오쩌둥의 시사(詩詞) 작품을 손질하고, 연설문의 초안을 작성했다.
승승장구하던 톈자잉은 1960년대 초반 후난성 답사 후, 기근의 실태에 관해 보고서를 올리면서 마오의 눈 밖에 났다. 문혁이 개시되던 1966년 5월 22일 오전, 우경분자로 몰렸던 톈자잉은 스스로 목을 맸다. 그에게 들씌워진 죄목 중엔 “마오쩌둥 저작”의 조작 혐의가 섞여 있었다.
마오는 1950년부터 20대의 톈자잉을 “마오쩌둥 선집”의 편찬에 참여시켰다. “마오쩌둥 선집 편찬”은 마오가 이념의 전위부대에 맡긴 최초의 임무였다.
1949년 12월 말 난생처음 소련을 방문해 2개월 간 체류했던 마오쩌둥은 스탈린에 “마오쩌둥 선집”의 편찬 계획을 알렸다. 스탈린은 마오쩌둥을 동굴의 마르크시스트라 조롱했다. 마오쩌둥은 게릴라 전사의 이미지를 벗고 공산주의 이론가의 반열에 편입되길 갈망했다. 마오는 스탈린에게 중국공산당은 무장투쟁에 몰두한 결과 이론적 무장이 부족하다 실토한 후, 소련의 이론적 자문을 부탁했다. 스탈린은 소련 공산당의 대표적인 철학자 파베 유딘(Pave Yudin, 1899-1968)을 주중대사로 파견했다. 유딘은 1953년 12월 3일부터 1959년 10월 15일까지 베이징에 머물면서 중국의 학자들을 이론적으로 지도했다.
“마오쩌둥 선집”을 출간한 후, 마오쩌둥은 한층 더 혁명의 이론화에 박차를 가했다. 1958년 6월 1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마오쩌둥의 제의에 따라 <<홍기>>지를 창간했다. <<홍기>>지는 1988년 6월 16일 <<구시(求是)>>로 개명될 때가지 30년 간 매달 2회씩 출간된 대표적인 중공의 이론지였다. 국내외 주요 현안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공식입장은 거의 대부분 <<홍기>>지의 사론(社論=사설)을 통해서 발표됐다. 마오쩌둥이 직접 권두언을 쓰는 경우도 적잖았다.
그만큼 절대의 권위를 가졌기에 <<홍기>>지의 편집위원들은 드라마틱한 정치적 영욕(榮辱)을 겪게 되었다. 1958년부터 1970년까지 <<홍기>>지의 발행을 주관했던 천보다는 결국 반혁명분자의 오명을 쓰고 숙청됐다. 문혁의 “3대 필간자” 왕리, 관펑, 치번위가 바로 <<홍기>>의 대표 논객들이었다. 마오쩌둥은 세 사람이 글을 지어 발표할 때마다 적극 지지를 표했다. 마오의 승인을 얻는 세 사람의 평론은 한 편 한 편 혁명군중을 격동시키는 문혁의 불길이 됐다.
절대권력자의 비호 아래서 펜대를 놀려대던 세 사람은 1968년 1월 재판의 절차도 없이 친청(秦城) 감옥에 수감됐다. 왕리와 관펑은 1982년에 석방됐지만, 치번위는 1980년 옥중에서 체포되는 형식을 거쳐 1983년 18년 형을 선고받은 후 1986년에야 18년의 수형 생활을 마치고 만기 출소했다.
이사는 독특한 법가사상으로 진시황을 지배했다. 비록 그의 몸은 비참하게 찢겼지만, 그가 고안한 통일정책은 2천년 중화제국의 기틀이 되었다. 반면 왕·관·치는 마오쩌둥에 이용만 당했던 꼭두각시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생각을 설파한 게 아니라 마오쩌둥 사상만을 선전했던 허깨비 지식분자였다.
독창적인 사상으로 권력자를 사로잡은 인텔리는 정부의 실권을 장악할 수도 있다. 반면 권력자에 기생하는 인텔리는 헐떡이며 토끼를 잡아와선 삶기고 마는 사냥개와 다르지 않다.
최용대
기자
헤드라인 뉴스
-
《인문학》 꽁치구이와 인문학
꽁치구이와 인문학 우리 동네엔 꽁치구이가 유별난 밥집이 있다. 그 집 꽁치는 파랗고 탱탱한 살집이 일품으로 출출한 발길이 그 구수한 유혹을 떨치기란 좀처럼 쉽지 않다. 그런데 열흘 전 일이다. 자르르 맛깔난 꽁치구이 한 점을 막 집어들려는데 좀처럼 술을 입에 대지 않던 아줌마가 반쯤 남은 소주병을 들고 와 잔을 권하며 탄성처럼 말을 토한다. “돈벼락 좀
-
《인문사회칼럼》 시간강사·인문학의 위기
시간강사·인문학의 위기 조카 아이는 대학원에 진학해서 역사를 공부하겠다고 했을 때 주변 사람들은 나중에 뭐 먹고 살려고 그런 공부를 하느냐며 걱정을 했단다.사실 인문대학에 입학할 때만 해도 인문학을 업으로 삼게 되리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을것이다. 그런데 학부 시절, 선생님들은 조카아이에게 학문에 대한 열정, 인문학을 통해 세상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볼 수
-
《인문사회칼럼》 인문학 바람
1. 인문학 바람 ? 올해 대학생이 된 조카아이가 학교에서 받아 온 학교 생활 안내서를 우연히 들춰보게 됐습니다. 고등학교 생활이 지긋지긋하다던 아이가 대학에 가서 뭘 배우고 어떤 생활을 할지 궁금했습니다. 안내서에는 대학 4년간 교육과정, 전공과목 소개, 진로·직업 소개 등이 있었습니다. 그걸 보다가 ‘이건 아닌데’ 하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
《인문사회학칼럼》인문학과 향연
인문학과 향연 요즘 대학가에서는 각종 논문 발표 행사가 유례없이 자주 벌어지고 있다. 교수들은 발표할 논문 쓰기에 바빠서 서로 얼굴 보기도 힘들고 학생 교육은 뒷전인 경우도 많다. 대학 간의 경쟁이 격화되고 개인의 역량을 논문의 수로 가늠하게 된 데 따른 결과다. 대학의 학술행사를 통상 ‘심포지엄’이라 부른다. 이 말은 인문학 분야의 토론회를 일컫는 데
-
한국매일뉴스 최용대 발행인 제1회 ‘아름다운 시집’ 선정 【창작지원금 3천만원】
한국매일뉴스 (최용대 발행인)은 우리나라 예술 작가들의 열악한 창작 환경을 개선하고 문학 생태계의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아름다운 시집’ 선정 및 창작지원금 제도를 올해 처음으로 도입했다. 최용대 발행인은 “상업성과는 거리를 두고 문학적 성취를 중시하는 작가에 힘을 보태어 한국 예술의 다양성과 창작 기반 환경을 넓히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하며,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제도”-이원희기자-
[한국=문화·예술] 많은 예술인들이 창작 활동에 평생을 바치지만, 정작 생계·법적 보호·사회보장 면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 설립된 기관이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다. 하지만 여전히 제도가 존재하는 사실조차 모르는 예술인들이 많아 혜택을 받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예술인복지재단은 예술인복지법에 근거해 설립된
-
《인문사회칼럼》 보통사람에 부는 ‘인문 바람
보통사람에 부는 ‘인문 바람’ “문학과 철학이 내 인생의 객관적 모습을 변화시킨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삶을 대하는 나의 태도는 달라지게 했다. 처음으로 딸에게 편지를 썼다.” 8년째 노숙자 생활을 하고 있는 이모씨(56)의 말이다. 이씨는 서울시가 노숙자 등을 위해 마련한 ‘희망의 인문학’ 과정에 참여한 뒤 이렇게 소감을 말했다. 이씨의 말은 어느 위대한
-
《인문정치칼럼》 인문학으로 다시 돌아가야 하는 이유
인문학으로 다시 돌아가야 하는 이유 인문학이 위기라 한다. 이미 진부해져 버린, 하지만 나름대로는 심각한 이 문제에 대해서 다시 거론하고자 한다. 진부해졌다 함은 그토록 많이 인구에 회자되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함은 인문학의 위기가 인문학 연구자 및 관련 종사자만의 그것이 아닌 한국 사회 전반의 위기를 경고한다는
-
《인문사회문학》일본 국수주의와 인문학
일본 국수주의와 인문학 일본의 소위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대표격인 자들이 일본이나 아시아 역사가 아니라 독일의 철학이나 문학 등을 전공했다는 점은 우리에게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들은 독일 찬양자, 특히 독일이 그 도발로 비난받는 제1, 2차 대전은 물론 그 역사의 찬양자로서 그 중에는 저명한 니체 연구자도 있다. 그런 독일 찬양자는
-
《사설》인천상륙작전 75주년
인천상륙작전 75주년 더글러스 맥아더(자리에 앉은 사람) 유엔군사령관이 1950년 9월 15일 상륙지휘함 마운트 맥킨리호에서 인천상륙작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맥아더 왼쪽에서 망원경으로 전방 상황을 확인하는 사람이 에드워드 알몬드 10군단장이다. 해리 트루먼 도서관 9월 15일은 인천상륙작전이 75주년을 맞는 날이다. 더글러스 맥아더 지휘를 받는
-
《사설》 78년 만 검찰청 해체, ‘또 다른 괴물’ 낳지 않도록
78년 만 검찰청 해체, ‘또 다른 괴물’ 낳지 않도록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 개혁과 관련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논란 많던 수사구조 개편이 일단락됐다. 정부·여당이 7일 확정 발표한 정부 조직개편안에는 검찰청을 폐지하고 수사(중대범죄수사청)와 기소(공소청)를 분리하는 내용이 담겼다. 1년 유예기간 뒤
-
《사설》 수출보국, 수입애국
수출보국, 수입애국 대한민국 경제는 수출로 성장해왔다. 전후 폐허 위에서 오직 수출만이 살길이라는 신념이 나라를 일으켜 세웠고 '수출보국(輸出報國)'이라는 말이 국민적 구호처럼 자리 잡았다. 그러나 우리가 종종 간과하는 사실이 있다. 찬란한 수출 성과의 이면에는 언제나 묵묵한 수입이 있었다는 점이다. 대표 수출품인 반도체는 한국 기술의 상징이지만, 그
-
<사막에 지다> 한국인 최초 '펜과 엔진으로 사막을 횡단한 예술가 '최종림 작가의 리얼 체험 수기
오늘부터 '펜과 엔진으로 사막을 횡단한 예술가' 최종림 작가의 책, 『사하라에 지다』를 신문 연재로 만나보게 된다. 우리는 종종 작가를 고즈넉한 서재에 앉아 펜을 든 고독한 존재로 상상하곤 한다. 그러나 최종림 작가의 삶은 그 어떤 소설보다도 드라마틱한 현실 모험 그 자체이다. 최종림 작가는 문학에 정통한 시인이자 소설가다. 그의 이력에서 가장 빛나는
-
지난 주 가정법원 에서 있었던 재판장의 판결
지난 주 가정법원 에서 있었던 재판장의 판결 김귀옥(60·사법연수원 24기) 신임 인천지방법원장은 명성여자고등학교와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1995년 사법연수원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했다. 1995년 대구지방법원 판사로 공직생활에 입문해 수원지방법원판사, 서울지방법원 판사, 서울고등법원 판사 등을 역임했다. 서울동부지법
-
《사설》 40년뒤 韓국가채무 비율 156% …'국가 위기' 프랑스보다 높아
40년뒤 韓국가채무 비율 156% …'국가 위기' 프랑스보다 높아 인구 고령화와 저성장으로 인해 40년 뒤엔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현재의 3배로 폭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아이들이 태어날 때부터 억대 빚쟁이가 되는 셈이다. 재정파탄을 막는 방법은 한 푼이라도 정부지출을 줄이는 것이지만, 정부는 2029년까지 재정을 풀겠다는
-
나눔으로 세상의 빛이 되어 준 '안성 ESG나눔기업' 15곳에 'ESG나눔기업패' 전달
나눔으로 세상의 빛이 되어 준 '안성 ESG나눔기업' 15곳에 'ESG나눔기업패' 전달 경기 사랑의열매(회장 권인욱)는 5일(금) 오전 11시 30분 안성시의 15개 기업 및 법인에게 'ESG나눔기업패'를 전달했다. 안성시에서 열린 전달식에는 김보라 안성시장, '안성 ESG나눔기업(법인)' 15곳의 대표자, 권인욱 경기 사랑의열매 회장이 참석했다. 경기
-
고흥군-㈜칸코쿠 노리 재팬, 일본 공동마케팅 협약식 열려
고흥군-㈜칸코쿠 노리 재팬, 일본 공동마케팅 협약식 열려 "고흥의 청정 바다에서 자란 김이 일본 전역에서 프리미엄의 표준이 될 것입니다" 지난 4일, 일본 현지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공영민 고흥군수의 힘 있는 목소리에 자리한 참석자들의 박수가 쏟아졌다. 이날 고흥군과 일본 ㈜칸코쿠 노리 재팬(Kankoku Nori Japan Co., Ltd.)은
-
《사설》 中 열병식의 정치학
中 열병식의 정치학 중국이 3일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시스트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을 맞아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전승절 열병식을 거행했다. 1949년 이후 매년 건국절(10월 1일)에 열병식을 연 중국은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이 발생한 때인 1960년부터 24년간 중단했다가 1984년 재개했다. 건국절이 아닌 전승절에 톈안먼에서
-
《사설》 왕비의 비극, 김 여사의 막장극
왕비의 비극, 김 여사의 막장극 역대 영부인으로는 처음으로 구속 기소된 김건희 여사의 극적인 인생은 드라마와 역사 속 인물과 비교되곤 한다. 강한 권력욕으로 남편을 왕위에 올려놓고 함께 몰락하는 셰익스피어 비극의 맥베스 부인 같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 친정 식구들을 동원해 국정 전반을 주물렀던 명성황후를 떠올리는 이들도 있다. 명품백 스캔들이 터졌을 땐
한국매일뉴스 © 한국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매일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